책을 시작하며
존 밀턴의 실낙원은 신과 인간, 선과 악, 자유와 선택에 관한 철학적으로 깊은 이야기를 펼칩니다. 이 책은 우리의 존재와 우리가 만나는 도전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며, 우리가 선택하는 길과 그 선택의 결과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합니다. 실낙원은 우리가 진정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심오한 인생의 질문에 대한 탐구로, 독자로 하여금 내면의 탐구와 성장을 위해 이 책을 읽게끔 만듭니다.
작가의 소개
존 밀턴(John Milton, 1608-1674)은 17세기 영국의 문학적 거장으로, 영국 국교회를 비판하고 자유론을 옹호하는 등의 활동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대표작인 실낙원은 인간의 자유 의지와 신의 불가해성에 대한 철학적인 논의를 담고 있으며, 영국 문학사상에서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밀턴은 또한 시인으로서도 유명하며, 그의 시집 헬은 영국 고전 시의 걸작으로 평가받습니다.
시대적 배경
존 밀턴의 실낙원은 17세기 영국의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분위기가 미치는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 시기는 잉글랜드 내전 시기로서 정치적인 불안과 종교적 갈등이 심화되었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1642년부터 1651년까지 이어진 잉글랜드 내전은 교회와 국가 간의 권력 다툼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영국 사회는 극심한 분열 상태에 놓였으며, 종교적 자유와 권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밀턴은 이러한 분열과 갈등의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하였으며, 작품 속에서 자유와 복음, 종교적 양심의 자유 등에 대한 토론을 전개하였습니다. 이러한 배경은 실낙원의 내용과 주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줄거리
존 밀턴의 실낙원은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하늘 추락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산맥의 정상에서 파업한 사단의 반역과 그에 대한 천국의 천사들의 반응이 그려집니다. 사단이 천사 미카엘과 싸움에서 패배하고 지옥으로 추방되는 과정이 상세하게 묘사되며, 그의 패배는 천국의 엄격한 군사체제와 하늘의 참여자들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두 번째 부분은 실낙원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인류의 창조와 그들의 에덴에서의 삶이 묘사됩니다. 아담과 이브의 창조, 그들의 정원에서의 생활, 그리고 사과를 먹은 후의 추락이 이야기됩니다. 아담과 이브는 하늘의 경고를 무시하고 사과를 먹음으로써 죄에 빠지고, 천국에서 추방당하게 됩니다.
세 번째 부분은 캐인과 아벨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아담과 이브의 아들인 캐인과 아벨의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캐인이 아벨을 살해한 후에 그의 범죄와 처벌이 묘사되며, 그의 죄악은 이후의 인류 역사에 영향을 미칩니다. 캐인은 지옥에 내려가는 처벌을 받지만, 하늘의 은총에 의해 다른 죄인들과 마찬가지로 인류 역사에 그의 후손을 낳게 됩니다.
이 작품의 구조는 세 가지의 주요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시간적으로는 창조 이야기의 초기부터 캐인과 아벨의 이야기까지를 다룹니다. 이러한 시간적 흐름은 인류의 탄생과 추락, 그리고 그에 따른 형벌과 속죄의 과정을 묘사하면서 작품의 전반적인 구조를 형성합니다.
결말
실낙원의 결말은 인간의 추락과 죄악에 대한 감정적 해결을 다룹니다. 아담과 이브가 에덴에서 쫓겨난 후, 그들은 땅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해야 합니다. 이후 캐인과 아벨의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캐인이 아벨을 살해하고 이로써 인류의 죄악과 악의 시작이 보입니다. 이후 캐인은 하늘의 심판을 받지만, 그의 후손들은 죄악의 연속된 역사를 이어나가게 됩니다. 이렇게 인간의 추락과 죄악에 대한 플롯이 전개되면서 작품은 감정적으로 무거운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그러나 실낙원은 결국 하늘의 은총과 속죄의 가능성을 열어놓습니다. 캐인이 하늘의 심판을 받은 후에도 그의 후손들은 하나님의 사랑과 은총을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이 있습니다. 이는 작품의 감정적 해결을 나타내며, 죄악과 추락에도 불구하고 하늘의 사랑과 용서의 가능성이 인간에게 주어진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로써 작품은 비록 죄악과 추락의 과정을 다루지만, 마침내는 소망과 구원의 가능성을 강조하여 독자에게 희망을 전합니다.
감상평
실낙원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다가온 감정은 불쾌함과 사색이었습니다. 밀턴의 서술은 인간의 추락과 죄악, 그리고 이에 따른 비극적인 결과를 묘사하는데, 이는 독자에게 죄악과 인간의 약점에 대한 깊은 불쾌감을 일으킵니다. 동시에 작품은 인간의 상실과 우울함을 통해 우리의 존재에 대한 사색을 유발합니다. 이런 불쾌함과 사색이 결국에는 우리의 삶과 인간성에 대한 심오한 질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세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아메리카의 비극 줄거리 및 배경(시오도어 드라이저) (0) | 2024.02.02 |
---|---|
<책>심판 줄거리 및 배경(프란츠 카프카) (0) | 2024.01.31 |
<책>분노의 포도 줄거리 및 배경(존 스타인벡) (0) | 2024.01.29 |
<책>모비 딕 줄거리 및 배경(허먼 멜빌) (1) | 2024.01.28 |
<책>멋진 신세계 줄거리 및 배경(올더스 헉슬리) (1)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