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문학

<책>걸리버 여행기 줄거리 및 배경(조너선 스위프트)

by 독서하는 마음 2024. 1. 23.

책을 시작하며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는 현실과 픽션의 경계에서 모호한 세계로 초대합니다. 이 작품은 걸리버 선장의 환상적인 여행을 통해 인간 사회와 동물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스위프트의 날카로운 풍자와 비판적 시선은 당시 사회의 어두운 모습을 투영하면서도 독창적인 상상력으로 가득합니다.

여행 중 마주치는 다양한 이야기는 독자를 다른 세계로 인도하며, 작은 존재들과의 소통을 통해 인간 본성과 도덕적 가치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스위프트는 냉소와 풍자를 통해 현실을 비판하면서도 독자에게 깊은 사색을 요구합니다.

걸리버 여행기는 우리의 세계를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게 하는 작품으로, 현대 독자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 책은 예리한 지적인 측면과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길 것입니다. 걸리버 여행기를 통해 새로운 시선으로 세상을 경험하고, 문학의 매력적인 세계에 빠져들어 보세요.

 

걸리버 여행기
걸리버 여행기

 

작가의 소개

조너선 스위프트(1667-1745)는 아일랜드 출신의 작가, 시인, 정치인으로, 그의 문학적 업적은 18세기 초기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스위프트는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창작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걸리버 여행기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힙니다.

스위프트는 캠브리지 대학에서 공부한 후 신부가 되었으며, 그의 문학 활동은 정치적인 측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그는 아일랜드의 교회와 정치에서 활동하면서 다양한 문학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걸리버 여행기는 스위프트의 사회 비판과 풍자적인 재치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예리하게 비판하면서도 독특한 상상력을 보여줍니다.

스위프트는 자신의 시적 작품과 풍자적인 소설들로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의 작품은 현대에 이르러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의 문학적 업적은 다양한 독자층에게 인정받고 있으며, 그의 정치적인 활동 역시 기억되고 있습니다.

 

시대적 배경

 

조너선 스위프트가 쓴 걸리버 여행기는 18세기 초반에 창작된 작품으로, 그 시대의 사회, 정치,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작품이 발표된 1726년은 잉글랜드의 조지 1세 통치 시기로, 식민지 확장, 유럽 내전, 종교적 갈등 등이 풍부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걸리버 여행기는 스위프트가 실제로 겪은 정치적 이벤트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습니다. 작품의 배경은 걸리버 선장이 여러 섬을 여행하는 모험을 다루는데, 이는 당시의 유럽 사회와 식민지 확장의 복잡한 정치적 현실을 풍자적으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18세기 초기의 유럽은 식민지 제국 간의 경쟁, 군사적 충돌, 종교적 갈등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해 혼란스러웠습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 함께 자본주의의 등장, 과학과 인쇄술의 발전이 현대적 사회의 모습을 예고하고 있었습니다.

스위프트는 걸리버 여행기를 통해 이 시대의 혼란스러운 정치적 상황과 사회적 문제를 비판하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깊은 인식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이 작품은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을 읽는 독자에게 풍부한 사유와 비판적 시각을 제공하는 문학적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줄거리

 

걸리버 여행기는 네 가지 이야기로 구성된 작품으로, 주인공 레미유 걸리버 선장이 여러 도시를 여행하면서 겪는 모험을 다룹니다. 각 이야기는 서로 다른 도시나 나라에서 벌어지며, 걸리버의 여행은 사회, 정치, 인간 본성에 대한 풍부한 풍자와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1. 릴리풋 여행기 (Lilliput):

걸리버 선장이 처음으로 방문하는 곳은 릴리풋입니다. 릴리풋은 작은 인간들, 릴리풋리안들이 사는 나라로, 거대한 걸리버는 그들에게는 거대한 몬스터로 비춰집니다. 이곳에서 걸리버는 정치적인 음모와 문제들에 휘말리면서 여러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2. 브로브딩냐 여행기 (Brobdingnag):

다음 여행지는 걸리버가 브로브딩냐라 불리는 나라입니다. 이곳은 릴리풋과 정반대로 거대한 인간들이 사는 곳으로, 걸리버는 여기서는 작은 존재로 여겨집니다. 이 곳에서 걸리버는 인간의 약점과 취약성에 대한 깊은 사유를 하게 됩니다.

3. 란드 여행기 (Laputa, Balnibarbi, Glubbdubdrib, Luggnagg, Houyhnhnm Land):

이 이야기는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란드 여행기에서는 걸리버가 란드 왕국과 다양한 도시를 여행합니다. 이 여행에서 걸리버는 정치, 학문, 과학, 사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스위프트의 풍자적 시각을 통해 비판하고 있습니다.

4. 여행의 끝 (Voyage to the Country of the Houyhnhnms):

걸리버가 마지막으로 방문하는 곳은 후인민 랜드로, 말과 유사한 지성체인 후인민과 만납니다. 걸리버는 이곳에서 자연의 법칙과 도덕에 대한 생각을 깊게 하게 되며, 인간의 행동과 본성에 대한 비판을 더욱 강화합니다.

이렇게 네 가지 이야기를 통해 걸리버 여행기는 걸리버 선장의 다양한 모험을 통해 당시 사회, 정치, 인간 본성에 대한 스위프트의 비판과 풍자를 담고 있습니다.

 

결말

 

걸리버 여행기의 결말은 걸리버 선장이 후인민 랜드에서 떠난 후, 다시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고향에 도착한 후, 사람들과 소통이 어려워지고 인간의 행동과 태도에 대한 냉소적인 시각을 키워가면서 결말이 이루어집니다.

걸리버는 후인민 랜드에서 지낸 시간 동안 말과 같은 지성체들과 함께 지내며 평화롭고 이치에 맞는 삶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돌아온 고향에서는 인간들의 이기심, 속임수, 부도덕한 행동들에 실망하게 됩니다. 그의 사랑하는 가족이나 사람들과의 소통이 어렵고, 인간들의 태도에 실망하면서 걸리버는 결국 고독에 빠지게 됩니다.

스위프트는 이를 통해 인간 사회의 본질에 대한 비판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걸리버는 마치 중재자와 같은 입장에서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다양한 문화와 인종을 접하고 경험합니다. 그러나 결국 인간의 탐욕과 부도덕함에 실망하며 자신만의 섬으로 철수하게 됩니다.

걸리버 여행기의 결말은 걸리버 선장의 내면적인 갈등과 고립된 삶을 통해 스위프트가 당시 사회의 문제에 대한 비판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이는 현대 독자에게도 여전히 사람들의 이기적인 행동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경각을 일깨우는 메시지로 다가올 것입니다.

 

감상평

 

걸리버 여행기를 읽으면서 가장 크게 다가온 감정은 현란한 상상력과 풍부한 사회 비판에 의한 깊은 고찰이었습니다. 스위프트의 특유한 유머와 날카로운 비판은 여러 나라와 문화를 거쳐 다니며 주인공 걸리버가 겪는 다양한 상황에서 두드러졌습니다. 작품은 단순한 모험 이야기를 넘어서, 인간 본성과 사회의 어두운 면을 뚜렷하게 드러내며 독자를 생각에 잠기게 만들었습니다. 걸리버가 겪는 각 국가에서의 경험을 통해 인간의 이기심과 탐욕, 도덕적 가치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독자는 그 속에서 깊은 사회적 비판과 철학적 고찰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러한 작품 속 강렬한 감정은 독자를 인간의 모순된 본성에 대한 성찰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자극하게 만들었습니다.